고 구철회 선생님의 회로이다.
예전 대학원 시절에 보았던 회로인데, 6DJ8 1알로 구동하는 컨셉이다. 6DJ8 SRPP Pre를 사용했었는데, 그다지 좋다는 기억을 갖지 못했고(잘못 만들었는지.. 해상력이 현저히 떨어지는듯한.. 느낌이 있었다. )
그래서 다시 6DJ8에 대한 느낌을 갖기 위해서 만들기로 했다. 정말 간편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그리고, 재대로된 IMF Version을 구현하기 위해서 집에 굴러 다니던 자재를 이용하기로 했다.
[사용 부품]
Trans : 전에 2차로 만든 M7 Phono용 2차 240V, 8V를 사용
쵸크 coil : 10H 100mA(57core) ==> 40H 30mA
커플링 : 2.2uF(회로에는 3uF을 제시하였으나, 가지고 있던 러샤 오일 2.2를 사용)
케이스 : 잡 케이스로 소리**에서 어느분이 파시던 것.
사용 진공관 : JJ 6DJ8, 러샤 6N1P 평가 예정
볼륨 : 전에 셀렉터에 저항 붙여 만든 어테뉴에이터를 100K 개조
셀렉터 : 토클 SW로 입력 2개만.. 사용
B+전원부 : Ma#7에 사용했던 PCB ==> RC 회로
H 전원부 : Ma#7에 사용했던 PCB
6DJ8/ECC88 6N1P
Heater 6.3V(0.365A) 6.3V(0.6A)
최대]
플래이트 전압 130V 300V
캐소드 전류 25mA 25mA
정격]
플래이트 전압 90V 250V
그리드 전압 -1.3V -4.5V
플래이트 전류 15mA 7.5mA
인터넷상에서는 대치관이라고 팔고 있지만, 실제 data상으로는 다른 관이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음질 향상을 얘기 하고 있기 때문에 제작후 교체 Test할 예정이다.
[제작]
대략적으로 Case안에 구겨 넣은 상태에서 찍은 사진이다. 좁은 곳에 갖가지를 넣다보니 빡빡한 느낌이 들지만, 배선을 하기전 상태라 좀 깨끗하게 보인다.
전면에 보이는것 처럼, 단순히 입력전환 토클, Volume, power SW 밖에 없기 때문에 Simple한 외모이다.
100K짜리 어테뉴에이터를 달았다, IMF에 걸맞지 않게 과한 느낌이지만, 놀리는것 보다는 평가 하리라 생각하였다.
전체적인 느낌은 투명하다는 느낌이었다. 6DJ8(실바니아)을 사용하였을떄는 전반적으로 중, 고음쪽이 돋보였고, 좀 가벼운 느낌이 들었고, 6N1P 사용시에는 전체적인 음의 밸런스가 맞는듯 하였다. 공간감도 좋았다.
하지만 6N1P적용시 파워 켰을때 '텅~'하는 소리로 인해 현재는 6DJ8을 사용중이다.(6DJ8도 가끔 텅~ 하는 소리가 남) 돌입전류에 의한것으로 판단 하였고,
1차 개선은 쵸크 코일을 10H -> 40H로 변경 Test 하였는데, 별효과 없었다. 텅~의 크기는 줄었으나 지속시간이 좀더 길었다.
2번째가 B+전워부를 RC Type으로 다시 제작하는것이다. 아니면.. 정전압부를 뜯어 고치는것..
아마도 사용된 정전압회로의 콘덴서 용량이 크게 설계되어 문제인것으로 판단된다. 다이오드 후 콘덴서에 on시 돌입 전류가 땡겨 가면서(코일쪽은 임피던스가 높아져서 순간적인 콘덴서 쪽으로..) 트랜스 용량이 못 받춰줘서 텅~하면서 울은것 같다. 작게 설정하는게 맞는것 같다.
어느분이 Test한 결과 전원부 cap은 50-200uF정도가 가장 듣기 좋았다고 한다. 쵸크 전후의 cap은 용량을 동일하게 하고... 크게할 경우 쏘는 소릴 만들어 내기도 한단다.. 전원부 평활콘덴서는...400-500이상을 넘어가지 않는것이 좋을 거 같고... 대개의 진공관앰프에서 이 선을 넘어설 필요가 없단다.
[전원부 RC필터와 LC필터의 차이]
RC의 경우, 필요한 필터를 위해선, 저항을 달아 필터를 하는데, 이 저항값은, LC보다 높읍니다. 이것은 전원 인피던스가 높아지기 때문에, 재생되는 소리가 LC에 비하여
좀 처진다...할까? 스피드감이 떨어진다...할까, 좀 차이가 있읍니다.
전류가 1~2밀리 정도는 몰라도, 10밀리이상 많이 흘리는 회로에선 차이가 느낄정도 입니다. 다이오드와 정류관의 차이도 마찬가지 입니다.
[쵸크 코일 공식]
B+전압 / 필요 전류 = 저항치 ==> 저항치 / 1130 = 필요 H
250V / 0.01A = 25000 ==> 25000 / 1130 = 22H
따라서 22H(10mA 이상)
일차 40H(30mA)로 선 평가 예정
[6DJ8적용시]
B+ : 242V
플래이트전압(R) : 99.8V
플래이트전압(L) : 114.2V
캐소드 전압(R) : 2.86V
개소드 전압(L) : 3.19V
전체 전류는 10mA정도이며, 각단은 5.26mA(L), 4.73mA(R) 이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Test예정이다. 저항은 2K~3.3K(2W이상)으로 평가 예정임.
현재 정전압회로에 200uF이 다이오드후에 달려있는데, 이것을 sim.해보면 초기 돌입 전류가 큰것을 알수 있다.
추가로 Heater 정전압부의 발열을 위해서 방열판 추가...
최종 전원부 개선후 돌입 전류에 의한 노이즈는 개선 되었으나, 각 단의 전압이 예측대비 10V정도 떨어졌음,
[6DJ8적용시]
B+ : 230V
플래이트전압(R) : 93.7V
플래이트전압(L) : 108V
캐소드 전압(R) : 3.035V
캐소드 전압(L) : 2.7V
[6N1P적용시]
B+ : 240V
플래이트전압(R) : 137.7V
플래이트전압(L) : 134.4V
캐소드 전압(R) : 2.29V
캐소드 전압(L) : 2.36V
전압 상승을 위해 최종 전원단에 3.3K 대신 2K 적용
[6N1P적용시]
B+ : 248.6V
플래이트전압(R) : 142.3V
플래이트전압(L) : 139.5V
캐소드 전압(R) : 2.376V
캐소드 전압(L) : 2.44V
[공부]
프리 앰프의 입력 임피던스 : 50K~100K
프리 앰프의 입력 레벨 : 0.5V
프리 앰프의 출력 레벨 : 0.5~2V
[6DJ8 로드 라인]
1) B+전압 240V, 플래이트 저항 27K에 대한 load line작성
2) 대략 전압으로 추정해보면 Grid 전압은 -2.8V, 캐소드 저항이 620옴, 전류는 약 4.5mA 정도.
3) 그리드 전압 1V 당 움직이는 전압은 : 그리드 전압 -2V~-3V ==> 플래이트 전압은 84V~110V
이득은 = (110-84)/(3-2) = 26
==> 프리앰프로써의 이득이 너무크다.. 입력레벨이 0.1~0.5V인데.. 이러면 2.6~13V .. 그래서 NFB적용..
4) P-G NFB 구조임(플래이트-그리드)
위의 회로에서 Feed back 이득 = 300K / (300K+20K) = 0.9375
5) 총이득은 x = (1-0.9375x)*26 , x= 26/25.375, x= 1.024.. 약 1배
==> 입력 레벨 0.1~0.5Vp
[6N1P 로드 라인]
1) B+전압 240V, 플래이트 저항 27K에 대한 load line작성
2) 대략 전압으로 추정해보면 Grid 전압은 -2.3V, 캐소드 저항이 620옴, 전류는 약 3.8mA 정도.
3) 그래프가 허접해서... 그리드 전압 2V 당 움직이는 전압은 : 그리드 전압 -2V~-4V ==> 플래이트 전압은 133V~184.5V
이득은 = (184.5-133)/(4-2) = 25.75
==> 위의 6DJ8과 유사한 이득이다... 입력레벨이 0.1~0.5V인데.. 이러면 2.6~13V .. 그래서 NFB적용..
4) P-G NFB 구조임(플래이트-그리드)
위의 회로에서 Feed back 이득 = 300K / (300K+20K) = 0.9375
5) 총이득은 x= (1-0.9375x)*25.75 ==> 약 1배..
거의 6DJ8과 유사하다. 근데, 직진성을 보면 아무래도 6DJ8이 좋은듯한데... 하지만 내 귀에는 6DJ8보다 6N1P 가 좋게 들리니.. 막귀라 그런지 싼 관이 어울리나 보다.
다음에는 6N1P를 이용해서 정격인 7.5mA정도 흘리는 프리를 고민 해봐야 겠다.
어쨌든 구철회님의 IMF Pre로 공부가 많이 되었다.
최소비용으로 최대 효과를 가져주는 프리이다.
'Audio > Tube Phono, Line Am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기임대] 6DJ8 CR Phono AMP (0) | 2010.02.23 |
---|---|
[完] AIKIDO Pre amp (0) | 2009.11.14 |
[장기임대] Marantz#7(Line) 또 다른 version (0) | 2008.06.28 |
[完] Marantz #7(phono PCB사용) (0) | 2008.05.31 |
[장기임대] Marantz #7(Line) (0) | 2008.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