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름 전체적으로 3웨이를 이용한 시원하고 편안한 스피커를 목표로 하였다. 이번에도 국산 삼미 유닛을 적극 활용하자는 취지이고 미드의 SR100은 대학때 뭣도 모르고 풀레인지 마냥 박스를 짜서 들었는데 다른 스피커 보조로 같이 울리면 소리가 기가 막혔던 추억이 있어 이번 3웨이에 미드로 사용해보고 싶었다. 모양새도 JBL4344의 미드처럼 생겨먹은게 이쁘기도 하다.
우퍼로 사용하는 MO08B50은 예전 대학원때 만든 2웨이에도 적용한건데 롱런하는 장수 모델인지 아님 삼미의 신제품 개발 의지가 없는건지 좀 모호하다. 하지만 8"에서의 우퍼로 사용하기에 적당한것으로 판단되어 다시 사용하였다.
6반만하더라도 2웨이에 사용한것도 거의 80Hz대였고 이번 3웨이에선 그래도 저역이 좀 나와줬으면 해서 나름 주파수가 35Hz까지 표기가 되어있는 이걸로 선택했다.
트위터는 국산을 찾기가 쉽지 않았다. 해서 그나마 좋을것으로 추정되는 중국산을 사용하였다. 2way에서도 리본 트윗을 사용하였는데 꽤 좋은 소리를 내어 주었고 이번에는 실크돔이지만 나름 고급형이라하여 적용해보기로 하였다.
3웨이 정도되는 약 30cm정도 높이가 되는 2웨이와는 다르게 집 공간을 많이 차지 할것으로 보인다.
2웨이는 사이즈가 적당하여 눈에 띌듯 말듯하여 가족들의 눈총을 덜 받았는데 이번 사이즈로 만들다 보니 많이는 아니지만 어느정도 사이즈가 부담이 된다.
외부 치수 : W 280, H 600, D 364
가시너트 우퍼 M4-35, 미드와 트위터 M3-40 사용
사용유닛
트위터 : Kasun UT2001 => 91dB, 배플 스텝 고려시 영향이 없음
미드 : 삼미 4" SR100A25 => 92dB, 배플 스텝 고려시 -2dB하여 90dB
우퍼 : 삼미 8" Mo08B50 => 91dB(1Khz), 88dB(100Hz), 86dB(50Hz)
: 배플고려시 87dB(1Khz), 84dB(100Hz), 82dB(50Hz)
해서 미드는 약 -6dB 정도, 트위터는 -7dB정도 예상해서 네트워크를 고려해야 겠다. 네트워크는 알리산으로 사용하고 중음과 고음부 음압을 조정할수 있도록 별도의 L-PAD부를 장착하여 외부로 빼서 수정을 쉽도록 구성할것이다.
MDF 18mm
좌우 : 340*600 - 4개
상하 : 244*340 - 4개
후면 : 244*564 - 1개
전면 : 280*600 - 1개
쫄대 가이드 자작 15mm
30*564 - 8개
30*214 - 8개
쫄대 자작 15mm
30*288 - 8개
30*150 - 12개
30*108 - 12개
미드 격벽 MDF 15mm
좌우 : 120*150 - 4개
상/뒷 : 150*150 - 4개
하 : 150*244 - 2개
M3용은 3.5mm로 뚫어주었고 M4용은 4.5mm로 전체 뚫고 6~6.5mm 들어가는부분 살짝 6mm정도 뚫어줌.
나왕 무늬목으로 작업을 하였다. 전 2웨이에는 월넛 무늬목으로 했었는데 너무 어두운 톤이라 이번에는 밝은 무늬목으로 작업 하였다.
전에 유광으로 해보니 너무 반짝여서 비싼 무늬목을 시트지처럼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어 이번에는 본덱스 수성 반광 바니쉬로 작업을 하였다.
덕트는 실리콘으로 표면에 발라서 나름 공진에 효과가 있도록 하였다.
목화솜으로 작업을 할려다 많은양이 들어갈것 같아서 1차 계란 스폰지로 하고 2차 목화솜으로 작업을 하였다. 이 계란판이 합성이라 나중에 시간이 경과하면 부스러질것 같다. 차라리 다 걷어내고 목화솜으로 채워야 할지 고민이다.
mid는 -7dB : 10R(20R병렬), Tweeter는 -6dB : 4.1R(8.2병렬)- 8R(15R과 18R 병렬) 로 연결하였다.
실제로 미드와 트위터는 좀더 키워줘도 될듯하다.
미드는 -6dB(8.2R), 트위터는 -4dB(2.95R(5.6R//6.8R), 13.68R(22R//33R 또는 30R//30R) 정도로 추정한다.
프래앰프 이퀄라이저로 조정해보니 미드부분은 약 +3dB , 고음부는 +6dB더 하면 듣기가 훨 좋은데 현재 적용된 미드-7db와 고음부 -6dB에 수치 그대로 적용하면 -4dB, 0dB가나온다...
해서 EQ로 조정했을때 mid는 1db보정이라면 TW는 2dB정도 보정 해주는게 좋을듯 하다..
보정치는 mid -5.75dB로 7.5R(15R//15R) 적용, TW는 -3dB로 2.3R(4.7R//4.7R)+19.39R(20R)로 해볼것이다.
일단 미드에 7.5R, TW에 2.3R+20R 결과 고음이 아직도 부족한 상태다. 그래서 외부 L-PAD는 제거하고 들어보니 어느정도 고음이 나온다.
아마도 TW의 임피던스가 6옴, 8옴 혼용이 되고 있었는데 6옴짜리가 확실한것 같다.. 같은 음압일때 임피던스가 6옴보다 8옴일때가 더 고음이 많이 나온다. 처음 8옴기준으로 계산했었는데 이게 6옴에선 과도하게 음압이 억제된것 같다. simulation 해보면 쉽게 알수 있다.
최종 고음은 저항없이 그냥 연결하였다. 회로에 원래 있던 1.2R도 그냥 쇼트 시켰다. 중음쪽은 7.5R에 10R을 병렬 연결하여 4.3R로 해놨다.
은근 밸런스도 좋고 소리도 괜찮게 느껴진다. 특히나 8"에서 나오는 저역이 만만치 않다.
얼마전 만들었던 2way의 단점들이 갑자기 들어오기 시작한다.
2022년. 8월
중, 고역이 강한듯 하다.
mid는 기존 7.5R(15R//15R) // 10R로 4.3R적용에서 7.5R(15R//15R) // 20R 하여 5.45R로 변경하였고, TW는 -1.6dB로 1R(2R//2R)+3R로 설정했다.
'Audio > Multi way Spea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完] 3 Way 그릴 제작 (0) | 2021.05.02 |
---|---|
[完] 2 Way 그릴 만들기 (0) | 2021.01.05 |
[完] 2WAY speaker (0) | 2020.10.21 |
[完] 4" 2Way와 6.5" Passive radiator (0) | 2020.08.06 |
2Way Speaker (0) | 2010.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