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 유닛 교체가된 up grade 게시물을 참고하세요
예전 한 10년전쯤 풀레인지?로 쓸려고 사놓았던 삼미 6.5" 유닛이 있다. 최근 정리하다보니 짐도되고 보관만 하는건 좀 아까운 생각이 들어서 이걸로 2way를 만들기로 했다.
삼미 유닛으로는 미드우퍼로 사용하고 트위터는 알리에서 4" 구경의 리본타입을 구입했다. 예전부터 리본타입의 소리에 대한 호기심이있어서 였고 삼미 6.5"(SR165A50)의 주파수가 77Hz~10,000hz라 묵직한 저음은 기대하기 어려울것 같고 더구나 아무생각없이 구입한 알리표 리본의 주파수가 3K~30Khz 이고 권장 crossover 주파수가 3.6KHz 이상으로 되어 있어 COF를 4Khz 이상으로 높게 설정 할 생각이다.
삼미의 음압이 95dB이고 리본 트위터의 음압이 94dB인데 베플 스텝 효과로 아마도 2~3dB정도만 보정 하면 될듯 하다. 일단은 어테뉴에이터로 청감상 좋은 쪽으로 셋팅할것이다.
대략적으로 계산해서 뽑아본 Network이다. High의 cut-off주파수는 약 6.2KHz정도이고 Low의 cut-off주파수는 4.1Khz로 2차 필터(-12dB/oct)로 했다. 약 4.5Khz~5Khz에서 crossover될것으로 판단하는데, 실제 제작후 튜닝을 거쳐야 할것이다.
일반적인 2Way는 2~3Khz에서 크로스오버 설정하는데 비해 과도하게 높게한것은 차라리 저음을 포기하고 중고음에 포커싱한 스피커로 만들어 보자이고 어찌될지는 끝에보면... 알듯하다.
High : 2R + 3.3uF + 0.3mH + LPAD(0.7R + 30R), 30R은 20R로 바꿔야하나 장착상태라... 그대로 진행
=> 수정하였다.
4.7R + 3.3uF + 0.3mH + LPAD(1.4R + 30R)
==> 최종 수정
6.8R + 3.3uF + 0.3mH + LPAD(1.4R + 30R)
==> 진짜 최종 수정
10R + 3.3uF + 0.3mH + LPAD(1.4R + 30R)
Low : 0.5mH + 6.8uF + Zobel filter 6.8uF + 8.7ohm
여기서 트위터는 역극으로 연결하였다.
외측 사이즈 220(W)*380(H)*260(D), 내측 184(W)*344(H)*224(D) 14.18liter로 예정
duct는 예전에 사놓은 50mm 지름의 100mm를 후면에 장착할것이다.
이 덕트 사용시 14리터 기준에서 약 55Hz의 튜닝 주파수가 되겠다.
이 뒷판에서의 덕트용 홀사이즈는 53~54mm 가공 필요하다.
MDF 18mm로 제작후 무늬목으로 해볼생각이다.
무늬목 작업이 난해한것 같으나 여기저기 자료를 보고 한번 해볼수 있겠다 싶어서 월넛 무늬목을 주문했다.
우퍼용 홀 사이즈는 143미리 컷팅이 필요하고 트위터용은 48*76미리 4각형 가공이나 나중에 원형 트위터 교체를 위해서 일단은 72미리 홀 가공후 사각형을 겹쳐서 가공할것이다.
전면은 6미리 MDF 를 덧대서 턱 가공처럼 할것이라 동일한 치수의 판에 우퍼용 173mm 가공 트위터 104미리 가공해서 만들것임.
MDF 18T
전면1 : 220*380mm (18T) *2ea
: 폭(220)중심에서 길이 방향으로 92mm 중심으로 72mm원타공,
: 반대쪽 폭중심에서 길이 방향으로 128mm길이를 중심으로 143mm원타공
전면2 : 220*380mm (6T) *2ea
: 폭중심에서 길이 방향으로 92mm 중심으로 105mm원타공,
: 반대쪽 폭중심에서 길이 방향으로 128mm길이를 중심으로 173mm원타공
후면 : 183*343mm (18T) *2ea
: 폭(183) 중심을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94mm 지점을 중심으로 53mm원형 타공
좌우 : 242*380mm (18T) *4ea
상하 : 184*242mm (18T) *4ea
자작합판 15T
쫄대1 : 30*344mm * 8ea
쫄대2 : 30*154mm * 8ea
가시너트 우퍼 M4-25 장착, 트위터 M3-30 장착 예정이다.
보내온 쫄대가 MDF 18mm로 잘못 와서 추가로 자작 15mm로 다시 주문하였다.
남은 MDF쫄대를 최대한 이용해서 내부 보강을 하였다.
가시너트를 우퍼쪽에는 M4용, 트위터쪽에는 M3를 장착하고 전면 턱용 배플을 목공 본드로 접착하였다.
MDF는 잘 부서러지기 떄문에 가시너트로 작업하는게 나중을 위해서 좋을것 같다.
MDF로만 되어 있음 흉물로 취급 받기 떄문에 아메리칸 월넛 무늬목을 사서 작업을 하였다.
목공본드를 먼저 롤러로 얇게 바른다음 투명해지면 다시 바른다. 그전 무늬목은 대충 넉넉히 치수를 재서 잘라놓고 분무기로 촉촉하게 해놓고 붙였다.
처음 해보는 무늬목 작업이었는데 대충 멀리서 보면 그런대로 볼만한것 같다. 물론 가까이서 보면 좀 메롱한 상태이지만 말이다. 바닥은 할려고 하다가 너무 귀찮아서 스킵하였다.
무늬목 위 바니쉬는 옻 바니쉬로 작업을 했는데 목공풀이 적게 발린건지 작업중에 살짝 뜨는 부분도 있기도 하다. 표면의 거칠기가 표나는걸로 봐서는 무늬목 샌딩이 중요한 부분일 것이다.
덕트는 50mm*100mm 정도 되는걸로 집에 있는것을 사용하였다. 공진을 저감하기 위해서 사용하고 남은 실리콘으로 덧칠을 하였다. 대략 이정도면 14리터 체적에서 60Hz 부근까지 내줄것 같다.
옻 바니쉬를 칠했더니 색이 짙게 올라왔는데 꼭 시트지 바른 느낌이다. 시트지를 너무 잘만드는거겠지만...
소리는 구경에 따른 한계는 있으나 중고역에 대한 리본 특성?을 맛볼수 있는듯하다. 편안, 자연스럽게 들리는 소리이다. 1주일정도 돌리니 우퍼의 몸이 풀리는것 같다. 여러 음악을 들으며 에이징을 해봐야 겠다.
듣다보니 중고역이 역시 강하다. 달리 말하자면 저역이... 완전 메롱이다.
삼미가 95dB, 트위터가 94dB 정도라 3dB정도 보정하면 될것 같았는데 삼미의 주파수 특성을 보니 저역은 약 -5dB정도 더 떨어진다. 1K정도일때 기준이 95dB라 저역 보상을 위해선 좀더 마무리가 필요한것 같다.
해서 마음은 더 떨어뜨리고 싶었는데 집에 있는 저항 적당한게 4.7R이라... -6dB정도 보정했다.
아직 고역이 강한듯하나 저역이 그런대로 나오는것 같아 좀더 들어보고 튜닝해야 할것 같다.
4.7R + 3.3uF + 0.3mH + LPAD(1.4R + 30R)
계산상 저역부분 맞출려면 90dB로 잡고 배플스텝효과로 -3dB하면 실질적으로 87dB정도로...
그럼 트위터는 -8dB 정도해야 하니 아직 더해야 겠다.
4.7R을 5.6~6.8R 정도로 설정해봐야 겠다.
아마도 이렇게 하면 중역이 더 도드라질것 같다.
그래서 우퍼쪽 코일을 0.5mH에서 0.7mH로 변경하면
저역 크로스가 살짝 저역쪽으로 가면서 중역쪽이 약간 가라앉을듯하다.
이거 대대적인 공사가 될듯하다. 일단은 현재 -6.1dB상태로 좀더 들어봐야 겠다.
삼미의 SPL이 1Khz에서 95dB, 100Hz에선 90dB정도이다.
이에 배플 스텝적용하면 약 1Khz는 91dB, 100Hz는 86dB정도...
1KHz에 맞추면 저역이 빈약하게 들리는게 맞는것 같다. 주파수에 따른 음압이 평탄치 못한걸 고려치 못한 결과이다. 100Hz기준으로 맞추면 -8dB정도 해야 하는데 그러면 중역쪽이 너무 튈것 같아서 고민인데 일단은 6.8R(약-7.5dB)을 해서 들어보고 판단해야 할것 같다. 크로스부 영역대가 강하면 네트워크를 수정하여 저역부 인걱터를 0.5mH에서 0.7mH로 변경하여 우퍼의 크로스부를 살짝 저역으로 밀어 놓아봐야 겠다. 이건 대대적인 공사가 될듯하여 최후의 방안으로... 고민이다.
간단히 고음부 저항을 6.8R로 변경하여 들어 봤다. 기존 보다 훨씬 밸런스가 맞는듯 하다.
약간더 줄여도 될듯하다.
약 2주간 들어본 결과 더 줄여도 될것 같다. 도대체가 업체에서 나온 측정치 믿을수가 없는것인지...
6.8R을 떼내고 10R을 과감히 달았다 . 이건 -9.5dB로 거의 -10dB이다. 이제 들을만 하디.
결과적으로 트위터 94dB을 85dB정도로 보정했을때 대충 삼미 6.5"와 음압이 맞는다는 얘기인데 이유닛은 1Khz부터 저역으로 갈수록 쭉쭉 바져버린다. 100Hz기준 90dB이되고 70Hz에선 89dB 정도... 저음 우퍼라고 보긴 어려울듯 하다.
어찌보면 3way나 4way에서의 midrange용이 적당할것 같다는 생각이다. JBL4344의 미드도 6.5"인가 그럴꺼다.
하여튼 이걸 우퍼로 하겠다고 한게 좀 무리인거다. 나중에 보니 삼미 6.5" 중에 CWR165라는 모델이 그나마 2way용 우퍼로 적당할듯 하다.
배플 스텝을 고려하면 1Khz는 91dB, 100Hz에서는 86dB, 70Hz 85dB 정도 떨어진다고 보고 대충 저역과의 밸런스가 100Hz기준으로 보고 계산 한다면 될듯한데 추가 제작하면서 기준을 세워봐야 겠다.
이런특성의 유닛의 경우 설계법은 (가정)
1) 우퍼의 1KHz/100Hz/fo 때의 음압을 비교해본다. 평탄한지 떨어지는지...
2) 100Hz 에서의 배플스텝고려해서 100Hz음압 4dB를 뺀값이 기준이다.
3) 트윗의 음압을 2) 값과 비교하여 L-PAD 설계한다. (+/-1~2dB 정도는 가감 필요한듯)
대충 된듯하니 레퍼런스 평가를 함 받아봐야 겠다.
'Audio > Multi way Spea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完] 3 Way 그릴 제작 (0) | 2021.05.02 |
---|---|
[完] 2 Way 그릴 만들기 (0) | 2021.01.05 |
[完] 3Way Speaker 자작 (0) | 2020.11.09 |
[完] 4" 2Way와 6.5" Passive radiator (0) | 2020.08.06 |
2Way Speaker (0) | 2010.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