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ZZ Face 비슷한 Si TR 사용 페달을 제작후 원 FF는 어떨지 궁금해서 최대한 원 회로 비슷하게 만들어 보고자 한다.
일단 Ge TR을 구하기 힘들기떄문에 Si TR을 사용하되 hfe를 유사한 셋팅을 할려고 한다. 하기는 인터넷에서 찾은 자료이다.
1차 제작은 Q1<Q2로 달았다가 Q1>Q2로 한게 더 소리가 좋은것 같아서 1호기의 컨셉은 이렇게 잡았다.
The usual recommended range for the "classic" Fuzz Face is 70-85 for Q1 and 120-140 for Q2. However, if you like a sound that's more "squishy" and "compressed," I have found that a high gain device for Q2 (150-190) gives a good result with a Q1 in the range of 90-120.
2N5088 in my FF, with Hfe around 350
BC559A, with hfe's around 150.
2N5550 and 2SC1815 in the 100- 150 range
2N2369A is the best choice. Hfe usually around 60-110.
2n2222a.
● 2N3904
● 2N2222 Can
● BC108A
● BC109A
smooth….
q1: 2n2369a (hfe 70-90)
q2: 2n3903, 2n3904 (hfe around 100-120)
slightly aggressive….
q1: 2n3903 (hfe 100-120)
q2: 2n3904, 2n2222a, 2n4401, bc108 (hfe 140-200)
gnarly….
q1: bc108 (hfe160-200)
q2: bc108, bc109, 2n5088 (hfe 200-350)
over the top….
q1: bc108 (hfe 180-220)
q2: bc109c, 2n5089, mpsa18 (hfe 400-500)
stoopid….
q1: 2n5088, 2n5089, bc109, mpsa18
q2: 2n5089, mpsa18
also…for a nice “all-arounder”, 2n3903′s work well in both q1 AND q2 ….
이번제작에서 Q1과 Q2의 증폭률은 54 /100와 80/140 이 두가지로 평가해서 달아볼 것이다.
추가로 출력cap이 0.01u인데 스위치를 달아서 0.1u가 가능하게 해놨다.
모 게시판에서 찾은 간이 NPN TR hfe측정기!! 이걸로 대충 측정하였다.
출력 cap은 오일 0.01u이고 SW로 WIMA 0.1u가 병렬로 연결되게끔 하였다.
실제 청감상 바뀌는게 크게 없는듯!!
50/100은 별로였고 해서 80/147로 해서 달았다. 개인적으로는 Q1의 hfe가 높은게 더 좋았던것 같은데 이건 큰데다 물려 평가해보고 결정해야 겠다.
'기타 꺼리 > 기타등등(guit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istortion 자작 (0) | 2014.05.10 |
---|---|
MXR Distortion+ MOD (0) | 2014.05.10 |
자작 이펙터 (0) | 2014.04.12 |
1호기 Alder Body 추가 개조 (0) | 2014.01.27 |
기타 앰프(Guitar Amp)를 만들어보자 (0) | 2013.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