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dio/Tube SE Power AMP

[장기임대] 6BQ5 Single Power AMP

눈나리는 날 2008. 4. 12. 16:53

일반적으로 진공관 Amp라고 하면 대단히 고가의 사치품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여기 저기에 찾아 보면 싸고 쉽게 구할수 있는것들이 많이 있다.

 

 

                                                            [6BQ5SE 2호기]

 

일명 '고추다마'라고 불리는 6BQ5(EL84)라는 관은 구하기 쉽고, 싸고, 음질도 상당히 좋다. 조그만하다고 만만히 보면 안된다,. 처음 초호기 제작시 깜짝 놀랐었다.

싼 것은 약 8000원? 정도 부터 몇 만원대까지 분포함.

 

 진공관 Amp중에 처음 만들었던 것이 6BQ5SE였고, 같은 회로로 4개 만들었다. 여기 사진에 있는게 4번째 만든 amp이다.

 

 

상판 가공한다고 고생 많이 했다. amp제작중 제일 힘든게 바로 case 가공이다.

 

 

 

주관적일 지는 모르겠지만 6BQ5SE과 풀레인지 조합은 바이올린 독주, 기타 소품집, 성악등에 적당한것 같다. 중고역 쪽으로 좀 치우친듯한 느낌이고 상큼하다라고 말하고 싶다.

 

 

제작에 사용된 회로, 이 회로의 전원부만 약간 변형해서 제작 함. coupling cap을 0.047->0.1uf으로 변경하였고, 러시아산 페이퍼 오일로 달았다. 

더이상 6BQ5는 만들지 않을려 하고 있기 때문에 외관(전부 수작업)에 신경을 썼고, 부품의 용량등도 최대한 넉넉하게 선정하였다.

 

 

현재 NFB를 초기 15K --> 약 1.7K정도 걸었는데,. 타 회로에는 1K로 되어 있다. 1K로 변경후 계속 들어 보았는데.. 뭔가 맛이 옛날과 달랐다. 원인을 찾기 위해 이리 저리 고민을 했었다.

 

역시 NFB가 과하게 걸렸다. 15K가 없어서 약 16K짜리로 달고 다시 들었다. 약간의 NFB로 인해 상큼한 6BQ5의 음을 즐길수 있었다.

 

NFB가 약해지다 보니 전에 들리지 않던 험이 괴롭히기 시작했다. 스피커에서 약 40cm 까지 들리는데, 들으면전원 험인 것으로 보아 접지 문제로 판단이 되었고, 여기 저기에 접지관련 자료및 고수님들의 글을 참조 했다.

 

이때 적용해본것이 2점 접지, 1점 접지등 해봤는데,. 별차이가 없었고(약간 2점이 좋았음) 현재는 1점접지로 해놓았다. 원인은 RCA입력쪽 접지를 출력쪽에 연결했는데 이것이 원인이었다. 이것을 초단쪽에 연결하니 험을 잡을수 있었다.

 

현재는 러샤 군용관 6p14를 꼽아 듣고 있다. 예전 1호기 제작시 Hitel hifi동에 계시는분께 미군용과 공짜로 받았는데 이제서야 연결해봤다.

 

 

 

아래는 진공관 회로를 공부를 하기 위해서 끄적인 것이니.. 고수분들께서는 읽지 말아 주세요..

 

 

 

 

 

 6BQ5의 간단한 data이다. Vg=-7.3V, Ia=48mA 임으로 R = 152로 150옴을 선택, 0.35W 정도이기 때문에 안정성을 위해서 2W이상의 저항, Zout이 5,200으로 5K out trans 를 선택한 것.

auto bias일때의 grid 저항은 1M옴 이하이다.

플래이트에 공급하는 전체 전압은 250V + (0.048A+0.0055A)*150옴 => 258V, 트랜스 저항이 272옴(76코아) 임으로 옴의 법칙에 의해  (0.048A+0.0055A)*272옴 => 14.5V 따라서 전체 B전압은 258+14.5V로 272.5V정도 임.

그리고 그리드 전압이 -1V~7.3V~13.6V 까지 움직였을때 플래이트 전압은 약 141V~329V까지 움직인다.

증폭율은 출력/입력으로 (329-141)/(13.6-1) = 약 15배...  dB로 환산하면 20log(15) = 23.5dB임. 

 

(그러면, 초단의 증폭율은 6BQ5의 그리드가 Vp-p = 12.6V, 12.6배 하면 되나..?)

 

 load line으로 검토한 결과임.

 

 

  

 

커플링캡은 공식에 의해 Cc=1.6*10^6/(f * Rg) 임,

일단 위 회로의 cap을 적용하여 freq.를 계산 해보면 f=1.6*10^6/(0.047 * 470K) = 약 72Hz...

본기에는 0.1uf을 적용하였으므로 약 34Hz 로 양호함.

 

또다른 공식인데 이공식이 더 정확할것 같음

 f=159/(R * Cc) ,  저항 단위는 K옴, Cap은 uf임.

 

 

 

 

 플래이트 전압이 100V일때, 플래이트 전류 0.5mA , 그리드전압은 1V정도.. 이 정도를 가지고 계산을 해보면

 

1. B+전압이 214V 정도 대략 270K을 load로 적용하면.. 0V일때 0.8mA 정도

2. load line을 긋고 쭈욱 검토 해보면, 약 0.44mA(그리드전압1V) 일때 12AX7의 플래이트 전압이 93V정도

3. 캐소드(그리드)전압은 약 1.0V ==> 옴의 법칙적용하면, 1.0/0.44 =2272 약 2.2K가 계산

 

 

 

 

 

 

위 회로에서 12AX7의 100V에서 내부 저항은 80K정도(data sheet참고), 그리고 플래이트 저항이 270K

병렬 계산 하면 (80K * 270K)/(80K + 270K) => 약 61K,

그리고 커플링 캡 뒤에 있는 그리드 저항이 470K임으로 470K+ 61K ==> 531K

 

따라서 0.047u일때 f= 159/(531*0.047) =6.37Hz

          0.1uf 일때 f= 159/(531*0.1) = 2.99Hz임으로 좋다.

 

-3dB값임,. -1dB값은 0.1uf기준으로 볼때 약 6Hz,, -0.5dB 은 약 12Hz임.

 

 

'Audio > Tube SE Power AMP'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完] 6V6SE II  (0) 2011.08.20
[장기 임대] 5998SE(6SL7)  (0) 2009.04.08
[完] 6L6GC SE(EL34, 6550, KT88 공용)  (0) 2008.04.20
[장기임대] 6V6SE Power  (0) 2008.04.13
[完] 5998SE Power  (0) 2008.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