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dio/악세사리

Super Tweeter 제작

눈나리는 날 2010. 9. 27. 22:27

이번에는 여러모로 사용될수 있는 Super Tweeter를 제작할것이다. 이건 사실 모 사이트에 올라온 공제를 보고 따라하는것이다.

사용 유닛은 삼미에서 나온 HF-200A를 사용하여 제작할것이다. 제품 특성을 보면 슈퍼라는 칭호가 붙기는 좀 뭐하지만, 여러 스피커들의 부족한 고음부를 위해서 back-up용으로 사용할것이다.

 

 

 

 

 

 

 impedance 8ohm, dc resistance 6.8ohm, Sensitivity 104dB, Freq Range 3.5KHz~ 20KHz

Power 30W, Recommender Crossover 5KHz ↑, Width 100mm, Height 100mm, Depth 70mm

Baffle Coutout Dia 90mm, Net Weight 1.35Kg

 

 

사용부품은 물론 트위터와 L-PAD, 그리고 콘덴서(필름) 으로 제작할것이고, 여러가지 주파수 사용을 위해서 토클 스위치로 선택할수 있도록 할것이다. 물론 인클로저를 제작하여 여기 저기에 붙여 사용할수 있도록 할것임.

 

1차 filter(-6dB) 로 대략적으로 계산해볼때, 1.8uF (11KHz), 2.2uF (9KHz), 3.9uF (5KHz), 4.7uF (4.2KHz) 이다. 삼미에서 제공한 data sheet에서는 5KHz에서 -12dB 로 Network를 설계하라고 되어 있는데, 고민을 해봐야 겠다.

 

대략적인 회로는 다음과 같다.

 

 

 

 

여러 문헌을 검토했을때 4단 셀렉터를 이용하여 5K(3.9uF), 10K(2.0uF), 13.2K(1.5uF), 16.6K(1.2uF), 19K(1.0uF)정도의 Network를 가지는것이 범용?으로써의 가치가 있지 않을까 하고,  추가로 위상에 의해 TW를 +, -를 반대로 연결해 줘야 한다는 의견도 있어서 이것은 토클로 변경 가능하도록 설계 할것이다.

 

 

3.5K이상 5Khz권장이라 1차 필터인 -6dB을 적용하면 10Khz와 15Khz 2가지로 적용하면 될것 같다.

해서 10KHz 일때는  1.99uF이고 15KHz일때는 1.33uF이다.

15Khz에서 1uF + 0.33uF 으로 하고 토클 스위치로 10KHz선택시 0.66uF(0.33*2) 해서 병렬 연력하면 될것같다.

일단 채널당 천일 필름 0.33uF *3개와 비자톤 MKP 1uF 1개로 구성 하면 될것 같다.

=======================================================================

 

삼미 유닛을 구입한지 근 10년이다. 빨리 마무리를 해야 겠다는 생각이다.

3단으로 8Khz, 10Khz, 13Khz 를 선택할수 있도록 하는게 실용적일것 같아서 다시 고민을 하였다.

식은 C= 0.159/(R*Freq) 이다.

일단 On-Off-On 되는 6핀3단 토클 스위치를 구해서 중간 off단자에 1.5uF 을 연결하여 13Khz가 되도록 하고 위 단자에는 0.47uF 을 연결하여 스위치를 아래로 하면 1.5uF과 0.47uF이 병렬로 연결되어 1.97uF으로 10Khz cut off 주파수가되고 아래핀에는 1uF을 연결하여 스위치를 위로 올리면 1.5uF과 1uF이 병렬연결되어 2.5uF으로 8Khz 컷팅 주파수가 되도록 할것이다. 필름은 중국산이긴 하지만 MKP 로 하여 위 어테뉴에이터와 연결하여 만들것이다.

트위터 박스는 자작나무 합판 12mm로 해서 만들고 뒷판은 알루미늄으로해서 단자와 스위치등을 장착할 예정이다.

배플의 전면에 장착할거라 유닛의 장착 구멍은 92mm로 해야 될것이다.

 

전면 140mm*140mm

좌우 164mm*180mm

상하 140mm*180mm

뒷판은 알루미늄 1.5t 140mm*140mm

 

뒷판 140mm로 했다가 들어가질 않아서 쇠줄로 갈다가 포기했다. 1t 139mm짜리로 재 주문하였다.

L-PAD 8옴짜리를 10년전에 구해놔서 이걸 이용하기로 했다. 요즘 L-PAD도 귀한모양이다. 물론 이게 음질에 좋지 않다고 하나 다목적으로 이용할려다보니  고정저항 방식 보다는 L-PAD가 실용적이다 판단되었다.

 

 

 

 

 

 

 

 

 

 

 

 

 

 

 

 

 

'Audio > 악세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完] 헤드폰 앰프(CHA 47)  (0) 2014.05.24
[방출]DAC 개조  (0) 2011.03.15
Cable  (0) 2010.01.08
책상 발판  (0) 2009.06.18
어테뉴에이터  (0) 2008.06.12